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신같기도 하고, 노르딕 전설에 나오는 장군의 이름같은 멋진 이름의 서체이자 ‘I love you!’라는 달콤한 문장도 모던하게 만들어 버리는 담담하고 세련된 서체, 헬베티카. 그러나 스위스 민족의 조상인 켈트족의 한 갈래이자 스위스의 옛 이름인 ‘헬베티아(Helvetia)’에서 유래된 서체이다. 세계 제 2차 대전 이후 꽃피운 스위스 모던 타이포그래피 양식은 1920년대와 1930년대 등장한 신 타이포그래피에서 찾을 수 있다.
디자이너는 활자 주조소의 직원이었던 막스 미딩거Max Miedinger, 1910~1980로, 독일의 스템펠 사를 통해 소개될 때 스위스를 강조하는 ‘헬베티카’의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산세리프의 현대적 이미지와 안정감, 정확함, 신뢰로 연결되는 이미지로 인해 루프트한자, 아메리칸 에어라인 등 항공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부터 뉴욕 지하철 사인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 속에 깊숙하게 자리 잡고 있다. 1)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인기를 얻었던 헬베티카는 한동안 인기가 떨어지다 최근들어 북유럽 스타일의 인기와 함께 화려하게 컴백하게 되었다. 클래식한 다른 서체와 달리 모던하지만 근현대적 클래식 감성이 더해져 젊은 층에게 인기가 좋다.

Poster of film Helvetica (film), for use with article.
TIP 출시 50주년이 되었던 2007년,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 디자인에 관해 게리 허스위 감독이 라는 최초의 헬베티카 영화를 만들었다. 그래픽 디자인이나 서체 디자인에 관심이 많은 이들에게 유용할 것이다.

More detailsAn early Helvetica specimen in the asymmetric Swiss modernist style.